최소임기보장제 등 장기목회 길 열릴까
페이지 정보
김범태 기자
kbtlove@kuc.or.kr
입력 2010.05.18 09:58
글씨크기
본문
장기목회 실현 위한 제도적 장치 등 의견 오가
![](https://adventist.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file/news/News_4749_file1_v.png)
이 자리에서는 특히 지역교회 자금지원, 장기목회 실현 가능성 등 일선 교회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놓고 심도 깊은 논의가 오갔다.
김대성 연합회장은 “그동안 전개해 오던 각 부서를 중심으로 한 사업진행은 이제 효용성이 떨어진다”고 문제성을 지적하고 “여러 가지 제도적 장치를 보완한다는 조건에서 장기목회제도나 최소임기 보장제도의 도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”며 현장의 의견을 물었다.
김 연합회장은 “목회자 임지배정 후 2년 정도 교회와 목회자가 사업을 진행해 본 후 양 측이 합의하면 10년 이상의 장기목회를 보장하는 것은 어떠냐”며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.
동중한합회의 한 목회자는 이에 대해 “인사이동 시 전임자와 교회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”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. 호남합회의 한 목회자도 “인사권자들이 장기목회를 보장해 주면 된다”며 임기보장에 대한 제도적 장치마련의 필요성을 언급했다.
![News_4749_file2_v.png](/data/news/News_4749_file2_v.png)
서중한합회 소속의 한 목회자는 “장기목회 시 목회자의 리더십이 강하게 요구된다. 만약 리더십이 부족한 목회자는 적응할 수 없는 현장이 될 것”이라고 우려하며 목회자의 리더십 강화를 우선적으로 주문했다.
한 참석자는 “10년의 임지보장은 목회자를 현실에 안주하게 만드는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다”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장치의 마련을 요구하기도 했다.
합회의 역할 변화를 기대하는 목소리도 찾아볼 수 있었다. 서중한합회 선교부장 조석호 목사는 “합회 행사에 일선 교회 목회자들을 동원하지 말아달라는 현장의 요구가 많다”며 연합회와 합회의 부서별 업무조정 및 사업축소의 필요성을 건의했다.
호남합회의 한 일선 목회자는 “합회는 골게터를 만들어야 하는데, 합회가 골을 넣으려 하며 일선 담임목사에게 계속 어시스트만 요구하고 있다”고 빗대면서 “합회의 강습으로 사업이 발전하는 시대는 지났다”고 발상의 전환을 강조했다.
![News_4749_file3_v.png](/data/news/News_4749_file3_v.png)
자리를 같이한 목회자들은 “자금력이 교회성장의 중요 키워드 중 하나”라며 지역교회의 열악한 자금구조상황에 대해 설명하고, 개선의 필요성을 역설했다.
한 목회자는 자신이 담임하고 있는 교회의 헌금 중 절반 이상이 합회로 올라간다며 “작은 교회를 살린다고 하지만, 현실적으로 교회는 교회대로 불만과 어려움이 있는 게 사실”이라고 일선의 분위기를 전했다.
이재천 목사는 충청합회의 ‘건강한 교회 만들기 프로젝트’를 예로 들며 “뚜렷한 선교적 목표를 제시하고, 자금 지원을 통한 동기를 부여한다면 시너지효과가 발생할 것”이라고 말했다.
이 밖에 “현재의 조직구조와 자금배분 시스템에 조정이 불가능하다면 오늘의 논의는 별 소용이 없다”는 의견과 함께 “교회는 자금과 상관없이 성도들의 헌신을 통해 성장한다”는 원론에도 눈길이 쏠렸다.
특집
-
[김지혜의 Interview-e] ‘부부 독도화가’ 권용섭·여영난 화백 2024.12.20
최신뉴스
-
재림성도, 크리스마스를 더욱 의미 있게 보내려면? 2024.12.24
-
화잇 선지자는 크리스마스를 어떻게 생각했을까? 2024.12.24